react로 만든 프로젝트를 firebase에 호스팅(hosting)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vite 를 활용하여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드는 경우도 많습니다.
기존 CRA(create-react-app) 로 만드는 방식보다 훨씬 가볍고 좋은 것 같습니다.
1. 프로젝트 빌드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빌드를 수행합니다.
npm run build
2. Firebase CLI 설치
터미널에서 firebase 명령어 사용을 위해 아래 명령어로 설치를 수행합니다.
npm install -g firebase-tools
3. firebase 로그인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후 기본브라우저에서 firebase에 호스팅 설정을 한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firebase login
4. firebase와 프로젝트 연결
아래 명령을 터미널에 입력 후 실행합니다.
firebase init
아래와 같이 시작 화면에서 y 를 입력합니다.
다음 단계에서 방향키로 Hosting으로 이동 후 Space Bar로 선택을 한 뒤 Enter를 누릅니다.
이 단계가 중요합니다.
CRA로 만든 리액트 프로젝트는 build 폴더를 선택하지만 vite로 만든 리액트 프로젝트는 dist 라고 입력해야 합니다.
25년 초만 해도 ChatGPT도 정확한 답변을 주지 못했는데 최근에는 학습이 된건지 dist로 알려주긴 합니다. 저는 이것때문에 몇시간 오랜만에 구글링을 한 것 같습니다..ㅠ
다음 단계에서 y를 입력합니다.
n 을 입력합니다.
여기서 보통 y를 입력한다고 하는데 저는 n 을 입력했을 때 정상적으로 배포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5. 배포 명령 실행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최종 배포를 합니다.
firebase deploy
배포에 문제가 없다면 firebase콘솔에서 지정한 Hosting URL로 접속하면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처음 배포시에는 5분 정도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