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파일, 클래스, 함수, 메소드, id, class, name 등 이름을 지을 때 어떤 형태로 지어야 할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생깁니다.
몇가지 상황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반드시 이렇게 해야하는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며, 참고용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름을 지을 때 공통 조건은 띄어쓰기를 쓰지 않으며(member name, board title...), 숫자로 시작하지 않고(1member, 2member...) 요즘은 한글로 변수이름(회원이름, 회원전화번호...)을 만들어서 쓸 수 있는 경우도 많지만 되도록이면 영어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카멜케이스(camelCase)
카멜케이스는 낙타에서 유래되었고 맨 첫글자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카멜케이스는 변수, 함수, 메소드, html 에서 name속성값 등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원의 이름(member name)을 다루는 변수를 쓴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memberName, userName...
새로운 회원을 저장하는 함수 또는 메소드라면,
newMember(), memberNew(), memberJoin(), saveMember(), memberSave()...
어떤 단어 조합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것은 정해진 건 없지만 대소문자 쓰는 형식은 되도록 지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파스칼 케이스(PascalCase)
파스칼 케이스는 카멜케이스와 조금은 유사하지만 모든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 입니다.
파스칼 케이스는 파일, 클래스 이름 등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원 기능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클래스라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MemberController.java, UserController.java...
스네이크 케이스(snake_case)
스네이크 케이스는 대부분의 단어를 소문자로 작성하지만 구분을 위해 단어 사이에 언더바(_)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쓰이는 형태가 제각각이긴 하지만 database의 컬럼명, javascript 함수명 등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파이썬에서 함수이름, 변수이름을 지을 때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원 이름을 담는 컬럼이름이라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member_name, user_name...
케밥 케이스(kebab-case)
케밥 케이스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대시(-)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html 의 id, class 이름을 지어줄 때 많이 활용되고 css 라이브러리인 bootstrap에서도 대부분 이러한 규칙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에 대한 id를 지정한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해볼 수 있습니다.
product-area, item-area...
위에 소개한 4가지 외에도 여러 표기법 들이 있는데 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알아두면 쓸모있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문자 이름 (0) | 2023.1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