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git 설치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main 또는 master 브랜치로 세팅되는 설정이 중간에 있는데 요즘은 master 대신 main으로 하고 있는 추세라 그 부분만 주의 한다면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master로 했다고 해도 main으로 변경할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설치하는 과정을 캡쳐 화면으로 나열하였습니다. 2023년 11월 기준이라 시간이 지나면 조금 다를 수는 있습니다. 

 

git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설치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Git - Downloading Package

Download for Windows Click here to download the latest (2.43.0) 32-bit version of Git for Windows. This is the most recent maintained build. It was released 9 days ago, on 2023-11-20. Other Git for Windows downloads Standalone Installer 32-bit Git for Wind

git-scm.com

OS 에 맞게 받으면 되고, Windows 64 bit 버전을 다운 받습니다. 

 

설치파일을 실행했을 때의 화면입니다. 

 

 

 

 

 

여기까지는 next로 계속 진행해도 되고 다음 단계에서는 주의할 부분이 있습니다.

기본 브랜치를 설정하는 단계인데, 기본은 master로 되어 있고 main으로 설정하려면 아래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음부터는 계속해서 Next로 넘어가도 됩니다. 

 

 

 

설치가 진행되는 모습입니다. 

 

설치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cmd에서 아래와 같이 설치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git --version

 

git 설치 후 commit, push하는 과정은 다음 글에서 소개하고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git 초기 세팅 및 commit, push 하기 :: 코딩레시피 (tistory.com)

 

git 초기 세팅 및 commit, push 하기

git 설치 후 PC(local)에서 작성한 내용을 github에 push하는 과정입니다. 먼저 사용자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본인 github username, email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username 입력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의

codingrecipe1.tistory.com

 

 

 

 

 

 

 

 

 

 

 

 

 

 

 

 

 

728x90
728x90

git 설치 후 PC(local)에서 작성한 내용을 github에 push하는 과정입니다. 

 

git 설치 과정은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 

git 설치하기 :: 코딩레시피 (tistory.com)

 

git 설치하기

git 설치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main 또는 master 브랜치로 세팅되는 설정이 중간에 있는데 요즘은 master 대신 main으로 하고 있는 추세라 그 부분만 주의 한다면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codingrecipe1.tistory.com

 

먼저 사용자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본인 github username, email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username 입력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의 github 사용자이름'

 

email 입력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의 github email 계정'

 

모두 입력 후 

>> git config --global --list 실행해서 입력한 내용이 출력되는지 확인

 

PC에서 작업한 내용을 github에 올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ithub에 올리고자 하는 폴더를 git 폴더로 지정하기 

2. 파일을 stage에 등록하기 

3. commit하기 

4. remote(github에서 만든 repository) 연결하기 

5. push하기 

6. github에서 확인 

 

1. github에 올리고자 하는 폴더를 git 폴더로 지정하기 

git init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폴더를 git 폴더로 지정합니다. 반드시 올리고자 하는 폴더에서 명령어를 실행해줘야 합니다.

 

2. 파일을 stage에 등록하기 

특정파일만 올릴수도 있고 전체를 올릴수도 있는데 전체파일을 올리는 내용으로 진행하였습니다. 

git add .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체 파일을 stage에 등록합니다.(add 와 . 사이에 공백을 반드시 줘야 합니다.)

 

3. commit하기 

commit 명령어 실행을 통해 버전을 기록합니다. 

commit 메시지는 "" 안에 작성합니다.

 

4. remote(github에서 만든 repository) 연결하기 

먼저 github에서 repository를 새로 만듭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원격저장소(remote)를 연결해줍니다. 

>> git remote add origin 'remote 주소'

 

 

5. push하기 

push 명령어를 이용하여 remote에 push를 합니다.

 

현재 PC에서 사용이 처음이라면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 push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뜹니다. 

github 계정에 로그인을 하고 인증을 처리해주면 push가 진행됩니다. 

로그인을 요청하는 팝업
인증이 완료된 화면

 

6. github에서 확인 

github repository에 접속하면 코드가 잘 올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Open JDK 설치 방법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aws.amazon.com/ko/corretto/?filtered-posts.sort-by=item.additionalFields.createdDate&filtered-posts.sort-order=desc

 

Amazon Corretto 프로덕션용 OpenJDK 배포

Amazon Corretto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및 로컬 머신에서 동일한 환경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Corretto 17은 Linux(x64 및 aarch64), Windows(x64), macOS(x64 및 M1), Alpine Linux(x64) 및 Amazon Linux 2(x64 및 aarch

aws.amazon.com

 

그리고 원하는 JDK 버전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17버전을 다운 받습니다.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한 뒤 O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Windows 버전을 다운받습니다. 

참고로 .msi 는 설치파일, .zip은 압축파일인데 .msi 버전이 훨씬 간편합니다.

 

다운 후 파일을 실행해줍니다. 특별한 상황이 없다면 쭉 Next로 넘어가고 설치해주면 됩니다. 

 

Install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끝났습니다.

 

설치가 끝난 뒤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여 확인을 합니다. 

 

 

환경변수도 확인해 봅니다. 

내PC의 속성을 들어갑니다. 

 

우측에 보이는 '고급 시스템 설정'에 들어갑니다. 

 

하단에 보이는 환경변수를 클릭합니다. 

 

시스템 변수에 JAVA_HOME 이라는 변수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JDK 설치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728x90
728x90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파일, 클래스, 함수, 메소드, id, class, name 등 이름을 지을 때 어떤 형태로 지어야 할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생깁니다.

 

몇가지 상황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반드시 이렇게 해야하는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며, 참고용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름을 지을 때 공통 조건은 띄어쓰기를 쓰지 않으며(member name, board title...), 숫자로 시작하지 않고(1member, 2member...) 요즘은 한글로 변수이름(회원이름, 회원전화번호...)을 만들어서 쓸 수 있는 경우도 많지만 되도록이면 영어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카멜케이스(camelCase) 

카멜케이스는 낙타에서 유래되었고 맨 첫글자를 제외한 각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카멜케이스는 변수, 함수, 메소드, html 에서 name속성값 등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원의 이름(member name)을 다루는 변수를 쓴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memberName, userName...

 

새로운 회원을 저장하는 함수 또는 메소드라면, 

newMember(), memberNew(), memberJoin(), saveMember(), memberSave()...

 

어떤 단어 조합으로 만드는지에 대한 것은 정해진 건 없지만 대소문자 쓰는 형식은 되도록 지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파스칼 케이스(PascalCase)

파스칼 케이스는 카멜케이스와 조금은 유사하지만 모든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 입니다. 

파스칼 케이스는 파일, 클래스 이름 등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원 기능을 처리하는 컨트롤러 클래스라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MemberController.java, UserController.java...

 

스네이크 케이스(snake_case)

스네이크 케이스는 대부분의 단어를 소문자로 작성하지만 구분을 위해 단어 사이에 언더바(_)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쓰이는 형태가 제각각이긴 하지만 database의 컬럼명, javascript 함수명 등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파이썬에서 함수이름, 변수이름을 지을 때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원 이름을 담는 컬럼이름이라면 아래와 같이 작성합니다. 

member_name, user_name...

 

케밥 케이스(kebab-case)

케밥 케이스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대시(-)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html 의 id, class 이름을 지어줄 때 많이 활용되고 css 라이브러리인 bootstrap에서도 대부분 이러한 규칙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에 대한 id를 지정한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해볼 수 있습니다. 

product-area, item-area... 

 

 

위에 소개한 4가지 외에도 여러 표기법 들이 있는데 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알아두면 쓸모있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문자 이름  (0) 2023.11.10
728x90

코딩을 하다보면 또는 일상 업무 등을 하다보면 여러 특수문자를 사용하게 되는데 명칭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것들이 많아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기호 이름
` 백틱(backtick), 그레이브(grave)
~ 틸드(tilde)
! 느낌표
@ 앳(at sign), 골뱅이
# 샵(sharp)
% 퍼센트(percent)
^ 캐럿(caret)
& 앰퍼샌드(ampersand)
* 애스터리스크(asterisk)
- 하이픈(hyphen), 대시(dash)
_ 언더스코어(underscore), 로우대시(low dash), 언더바(under bar)
= 이퀄스(equals)
더블쿼터(double quotation), 큰따옴표, 쌍따옴표, 쿼테이션(quotation mark)
싱글쿼터(single quotation), 작은따옴표, 어퍼스트로피(apostrophe)
; 세미콜론(semi colon)
: 콜론(colon)
, 콤마(comma), 쉼표
. 마침표, 닷(dot)
/ 슬래시(slash)
\ 백슬래시(back slash), 역슬래시
| 버티컬바(vertical bar)
( ) 소괄호, parentheses, round bracket
{ } 중괄호, 브레이스(brace)
[ ] 대괄호, 브래킷(bracket)
< > 앵글브래킷(angle bracket), 꺽쇠괄호
728x90
728x90

git organization으로 협업을 할 때 push 명령을 실행하면 계속 로그인을 물어볼 수가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다음과 같이 옵션을 체크해주시면 해결 가능합니다. 

 

IntelliJ 설정 메뉴에 들어갑니다. 

 

하단 부분에 Version Control 메뉴를 열고 Git 을 클릭합니다. 

 

제일 하단에 아래 그림과 같이 Use credential helper 체크를 해주면 push가 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728x90

이번에는 두사람이 동시에 같은 파일을 작업하여 push 한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omeController 메서드를 동시에 작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userA는 branch를 만들고 help 메서드를 추가하고 commit, push를 합니다. 

 

Github에서 PR을 작성합니다. 

현재까지는 충돌될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merge 됩니다. 

 

merge도 진행합니다. 

 

 

userB도 branch를 만들고 contact 메서드를 추가하고 commit, push를 합니다. 

 

userB도 Github에서 PR을 작성합니다. 

두 사람이 동시에 같은 파일을 작업했기 때문에 PR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충돌을 해결하라는 메시지가 보입니다. 

 

이렇게 충돌이 발생하면 팀원은 알아서 해결하기 보다는 팀장에게 알려 수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팀장은 Github의 PR 탭을 클릭하여 해당 충돌 페이지로 진입합니다. 

Resolve conflicts를 클릭해봅니다. 충돌이 발생한 부분을 <<<< ===== >>>> 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당 기호를 지우고 충돌 코드 등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페이지에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우측 상단의 Mark as resolved 버튼이 완료 버튼인데 현재는 수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코드를 수정하고 <<<< ===== >>>>를 모두 지우면 Mark as resolved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이제 merge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에서 Commit merge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정상적으로 PR을 수행했을 때의 화면으로 나옵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merge를 수행합니다. 

정상적으로 merge가 되었습니다. 

 

로컬에서 main branch를 update해보면 HomeController가 정상적으로 작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Git으로 팀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활용하면 좋을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팀프로젝트에서 git을 사용할 때는 워낙 변수가 많아서 모두 다룰 수는 없지만 각자 필요한 절차만 잘 지켜서 진행한다면 최소한의 문제로 즐거운 코딩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728x90

두 명의 팀원이 동시에 각자의 코드를 개발하는 상황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각자 개발을 하고 완료한 뒤 PR(Pull Request)를 작성하는 상황입니다. 

 

팀장인 팀원 A는 게시판 서비스를 개발하고 팀원 B는 회원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코드 설명은 따로 하지 않고 코드 몇줄만 작성합니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 main branch를 업데이트하고 작업할 branch를 만들어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늘 중요한 과정입니다.) 팀장이라고 해도 main에서 작업하지 않도록 합니다. 

 

팀원 A가 userA_board라는 branch를 만들고 BoardController, BoardService 클래스를 만들었습니다. 해당 내용을 commit, push 합니다. (commit 후 매번 push할 필요는 없습니다.)

commit 할 때 Commit to branch이름 인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Commit to main이라고 써 있으면 현재 main branch에서 작업하고 있는겁니다..

commit, push 완료 후 github에 들어가서 PR을 작성해줍니다. (PR 작성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PR을 완료한 화면입니다. 

 

팀원 A가 게시판 작업을 하는 동안 팀원 B도 본인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팀원 A의 코드는 작성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코드 병합을 진행합니다. 

 

팀원 B는 main 코드는 병합되었지만 본인 작업을 계속 수행합니다. 

MemberController 메서드 추가, MemberService 클래스 추가를 하고 commit, push를 합니다. 

 

github에서 PR을 작성합니다. 

 

팀장은 userB의 코드를 병합합니다. 

모두 병합되어 commit history에 내역이 보입니다. 

 

 

main branch가 모두 병합되었고, 각자의 로컬에서 main branch Update를 수행하고 이어서 개발을 진행하면 됩니다. 

IntelliJ에서 Update후 main branch를 살펴보면 모든 histor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두사람이 동시에 하나의 파일을 작업하는 경우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