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ntelliJ 로 프로젝트 만드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Tomcat 설정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동일합니다. 

https://codingrecipe1.tistory.com/2

 

IntelliJ로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만들기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인텔리제이가 2023년 이후 버전이 바뀌면서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를 만들 때 사용했던 Add Framework 옵션이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 만드는 것은 가능하니 주요

codingrecipe1.tistory.com

 

그리고 제가 만든 영상으로 세팅하는 과정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WgBlpgk0ls&t=2s 

  • Community 버전은 Tomcat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아서 Smart Tomcat 이라는 Plugin을 추가로 설치해줘야 합니다. 
  • File-Settings 로 들어가서 왼쪽의 Plugins 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 검색창에 Tomcat 이라고 검색 하면 Smart Tomcat 이 가장 상단에 보이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 우측 상단 Cuurent file 클릭 후 Edit Configuration 클릭합니다. 

  • Add new를 클릭하여 Smart Tomcat을 선택해줍니다. 

  • Name은 Tomcat으로 작성해주시고, Tomcat server 항목에서 Tomcat이 설치된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 설치를 했는데 보이지 않는다면 윈도우 탐색기에서 설치한 폴더를 한번 열어주세요.(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야 하는거라 따로 열어주지 않으면 IntelliJ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 Context path는 서버 실행시 기본 주소라고 보시면되고 / 만 작성해줍니다. 

  • 나머지 설정은 그대로 두셔도 되고 포트 변경이 필요하면 Server port 에서 번호를 바꿔 주시면 됩니다. 

 

설정을 다하셨다면 우측상단의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브라우저가 자동실행 되면서 index.jsp 에 작성한 내용이 보일겁니다^^

728x90

'설치 및 세팅하기 > Tomca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설치하기  (0) 2023.07.21
728x90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인텔리제이가 2023년 이후 버전이 바뀌면서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를 만들 때 사용했던 Add Framework 옵션이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 만드는 것은 가능하니 주요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web.xml, pom.xml, servlet-context.xml, root-context.xml 파일은 복붙으로 진행하고, 내용은 아래 git 주소에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git: https://github.com/codingrecipe1/springframework_setting)

 

유튜브 영상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Community 버전으로 만들었습니다.)

https://youtu.be/tWgBlpgk0ls

 

프로젝트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 Open JDK 11(Amazon Corretto)
  • IntelliJ 2022.3.3 Ultimate (인텔리제이를 최신버전으로 계속 쓰다보면 이상하게 되던게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개인적으로 최신 업데이트를 꾸준히 하지는 않습니다.)
  • Tomcat9
  • IntelliJ Ultimate, Community 버전 모두 세팅 과정은 비슷하며, Tomcat만 차이가 있습니다. 

 

프로젝트 만들기 

새 프로젝트 메뉴에서 좌측의 Maven Archetype 선택 후 아래와 같이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해 줍니다. 

Name: 프로젝트 이름 

Location: 프로젝트가 저장될 경로(상위 폴더까지 선택하면 하단에 보이는 것 처럼 프로젝트 이름으로 하위 폴더가 만들어집니다.)

JDK: PC에 설치된 JDK 버전으로 선택해줍니다. 

Archetype: org.apache.maven.archetypes:maven-archetype-webapp 으로 선택합니다. 

모든 항목 설정 끝나면 Create 클릭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폴더 및 파일이 배치됩니다. 

github에 올려놓은 자료를 참고하여 xml 파일을 세팅합니다. (복사 붙여넣기를 활용해주세요.)

(git: https://github.com/codingrecipe1/springframework_setting)

 

1. pom.xml 

  • 16번 라인의 properties 부터 제일 마지막 줄 까지 복사하여 프로젝트의 pom.xml에 붙여넣기를 진행합니다. 붙여넣기를 할 때 10번 라인부터 모두 삭제한 후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습니다. 9번라인 까지의 정보는 현재 만들어진 프로젝트의 정보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이름과 다르면 빌드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붙여넣기를 진행하면 우측 상단에 아래 그림과 같은 아이콘이 보일겁니다. 반드시 클릭하여 dependency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처음엔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2. web.xml

  • 기존 web.xml 내용을 모두 삭제한 후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3. servlet-context.xml

  • WEB-INF 폴더에 새 파일을 만든 뒤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 마지막에서 두번째 줄의 base-package 부분은 프로젝트의 패키지 이름에 따라 변경되니 수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root-context.xml

  • WEB-INF 폴더에 새 파일을 만든 뒤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5. views 폴더 

  • WEB-INF 폴더에서 views 폴더를 새로 만들어주고 index.jsp 파일을 추가해줍니다. 
  • Ultimate에선 jsp 파일을 만들면 기본 구조도 만들어주지만 Community에서는 그렇지 않으니 git에 올려놓은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6. java 폴더

  • src-main 에서 우클릭 후 Directory 선택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오며, java 폴더를 더블클릭 해줍니다. 

7. 기본 패키지 생성 

  • 위에서 만든 java 폴더에서 우클릭 후 New-Package클릭한 후 기본 패키지 이름을 com.codingrecipe.project01로 작성 후 엔터(기본 패키지 이름은 com. 이후 마음대로 작성하셔도 되며, 다른 이름으로 작성하신 경우 servlet-context.xml 의 base-package 부분에 똑같은 이름으로 작성해줍니다.)

 

8. Controller 작성 

  • project01 패키지에서 우클릭 후 New-Java Class 에서 HomeController 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작성하고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클래스 이름이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처음이라면 되도록 똑같이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package com.codingrecipe.project01;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index";
    }
}

 

9. Tomcat 설정

Tomcat 설정을 하려면 톰캣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Community 버전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dingrecipe1.tistory.com/3

  • 우측 상단 Cuurent file 클릭 후 Edit Configuration 클릭합니다. 

  • Add new 클릭 후 Tomcat Server의 Local을 클릭합니다.

 

  • Configure 버튼을 클릭하여 Tomcat이 설치된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 Tomcat Home 에서 폴더를 클릭하여 Tomcat9.0 폴더를 선택해줍니다. 
    • 설치를 했는데 보이지 않는다면 윈도우 탐색기에서 설치한 폴더를 한번 열어주세요.(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야 하는거라 따로 열어주지 않으면 IntelliJ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 다음으로 배포 환경 설정을 합니다. 
    • Deployment 탭을 클릭합니다. 

  • 추가 아이콘 클릭 후 Artifact를 클릭합니다. 

  • war exploded 가 적힌 항목을 클릭하고 OK를 클릭합니다. 

  • 기본 주소를 /로 하기 위해 하단의 Application context 부분에 / 만 작성해줍니다. 

  • 나머지 설정은 그대로 두셔도 되고 포트 변경이 필요하면 HTTP port 에서 번호를 바꿔 주시면 됩니다. 

10. 프로젝트 실행!

  • 드디어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고 우측 상단의 실행버튼을 클릭하시면 index.jsp 에 작성한 내용이 브라우저에 보이게 될 겁니다^^

 

해보시다가 문제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