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번 라인의 properties 부터 제일 마지막 줄 까지 복사하여 프로젝트의 pom.xml에 붙여넣기를 진행합니다. 붙여넣기를 할 때 10번 라인부터 모두 삭제한 후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습니다. 9번라인 까지의 정보는 현재 만들어진 프로젝트의 정보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이름과 다르면 빌드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붙여넣기를 진행하면 우측 상단에 아래 그림과 같은 아이콘이 보일겁니다. 반드시 클릭하여 dependency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처음엔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2. web.xml
기존 web.xml 내용을 모두 삭제한 후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3. servlet-context.xml
WEB-INF 폴더에 새 파일을 만든 뒤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마지막에서 두번째 줄의 base-package 부분은 프로젝트의 패키지 이름에 따라 변경되니 수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root-context.xml
WEB-INF 폴더에 새 파일을 만든 뒤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5. views 폴더
WEB-INF 폴더에서 views 폴더를 새로 만들어주고 index.jsp 파일을 추가해줍니다.
Ultimate에선 jsp 파일을 만들면 기본 구조도 만들어주지만 Community에서는 그렇지 않으니 git에 올려놓은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6. java 폴더
src-main 에서 우클릭 후 Directory 선택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오며, java 폴더를 더블클릭 해줍니다.
7. 기본 패키지 생성
위에서 만든 java 폴더에서 우클릭 후 New-Package클릭한 후 기본 패키지 이름을 com.codingrecipe.project01로 작성 후 엔터(기본 패키지 이름은 com. 이후 마음대로 작성하셔도 되며, 다른 이름으로 작성하신 경우 servlet-context.xml 의 base-package 부분에 똑같은 이름으로 작성해줍니다.)
8. Controller 작성
project01 패키지에서 우클릭 후 New-Java Class 에서 HomeController 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작성하고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클래스 이름이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처음이라면 되도록 똑같이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package com.codingrecipe.project01;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index";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