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일단 화면에서 요청하고 컨트롤러에서 응답하는 부분만 확인하는 것이 초반에는 수월하기 때문에 DB 연동 없이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DB 연동을 포함한 내용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STS실행하고 File-New-Spring Starter Project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 이름, 패키지이름, jdk 버전 등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Java Version은 PC에 설치된 버전으로 선택하고, Type은 Gradle-Groovy로 선택하면 build.gradle이 생성되고, Maven으로 선택하면 pom.xml 파일이 생성됩니다. 아래와 같이 선택하고 넘어가겠습니다.
Dependency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Developer Tools - Lombok, Web - Spring Web, Template Engines - Thymeleaf 이렇게 3개를 선택합니다. 선택완료 후 Finish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된 폴더의 모습입니다.
index 페이지를 띄우기 위해 Controller 클래스를 만듭니다.
패키지를 하나 추가합니다.
controller 패키지에서 클래스를 추가합니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합니다.
package com.example.demo.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index() {
return "index";
}
}
index.html 파일을 추가합니다.
html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면 아래 글을 확인해주세요.
https://codingrecipe1.tistory.com/38
html 파일은 src/main/resources/templates 폴더에 만들어줍니다.
확인을 위해 Hello Spring Boot 라고 작성해줍니다.
실행은 프로젝트 이름에서 우클릭 후 Run As - 4 Spring Boot App으로 실행합니다.
아래 콘솔에 별다른 에러가 보이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고 별도의 포트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localhost:8080 을 주소창에 입력합니다. 아래와 같이 실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B 연동한 프로젝트는 다음글에서 소개하겠습니다.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S 환경에서 롬복 설치하기 (0) | 2024.01.11 |
---|---|
STS 에서 UTF-8 설정하기 (0) | 2024.01.11 |
STS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html 파일 추가하기 (0) | 2024.01.11 |